photocolor
FAQ   Q&A   새글   이동↓↓↓


2025년 07월 03일 (목요일)   날씨는?

         | 회원가입 | 정보찾기 |


  水鐘寺
목록   
 


제목 : 水鐘寺

 

수종사는 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 자락에 위치한
대한 불교 조계종 봉선사 말사 입니다.

아래 글 출처 : 대한민국 문화재 청 홈페이지
수종사에 대한 유래는, 1458년(세조 4) 세조가 금강산(金剛山) 구경을 다녀오다 이수두(二水頭 : 兩水里)에서 하룻밤을 묵게 되었는데, 한밤중에 난데없는 종소리에 잠을 깬 왕이 부근을 조사하자, 주변에 바위굴이 있고, 굴 안에 18나한(羅漢)이 있었으며, 굴 안에서 물방울 떨어지는 소리가 마치 종소리처럼 울려나와 이곳에 절을 짓고 수종사라고 하였다고 전해온다.

운길산 수종사는 북한강과 남한강이 합류하는 두물머리(양수리)를 바라볼 수 있는 저명한 경관 전망지점으로 자연경관 가치가 높은 곳이다.

예부터 많은 시인묵객들이 이곳의 풍광을 시·서·화로 남겼으며, 서거정(1420~1488)은 수종사를 '동방에서 제일의 전망을 가진 사찰'이라 하였으며, 봄·여름·가을·겨울 연중 내내 신록·단풍·설경이 신비스러우며, 일출·일몰·운해 등 어느 시간의 풍광이라도 대단히 아름다운 전망을 지니고 있는 조망지점으로서 경관가치가 큰 곳이다.

정약용은 일생을 통해 수종사에서 지낸 즐거움을 '군자유삼락'에 비교할 만큼 좋아 했던 곳으로 역사문화 가치가 높은 곳이며, 또한 다선(茶仙)으로 일컬어지는 초의선사가 정약용을 찾아와 한강의 아름다운 풍광을 즐기며 차를 마신 장소로서, 차문화와 깊은 인연이 있는 곳이며, 현재 수종사는 삼정헌(三鼎軒)이라는 다실을 지어 차 문화를 계승하고 있어 차 문화를 상징하는 사찰로 이름이 높다.

겸재 정선(1676~1759)의 경교명승첩(한강의 북한강·남한강 주변경관과 한강과 서울의 인왕산, 북악산 등의 경관을 그린 화첩으로 총 33점으로 이뤄짐)중 독백탄(獨栢灘)은 현재의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양수리’의 경관을 보여주는 고서화로서 그 시대의 명승지 경관과 현재의 경관을 비교 감상할 수 있어 회화 가치가 높다.

  profile_image   작가 : tmddn051 / 운광/박승우
제목 : 水鐘寺
분류 : 산山
PHOTO HOME : http://photocolor.kr/?tmddn051
♥사진모음 LIST   쪽지보내기
Hit : 395, 작성일 22-11-06 10:34


포토칼라의 모든 게시물은 1년간 게시 되며 이전의 게시물은 삭제및 보관 처리 됩니다
또한 1년이전의 게시물포인트및 짧은답글포인트는 소멸 됩니다.(매월 1일에 정리).
구좌번호 : 508-11-446710-0 (단축번호:6220341)     대구은행    포토칼라   
모니터 밝기조절 .&. -원격AnyDesk-


photocolor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포토칼라 동호회는 고객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이라고 합니다), 개인정보보호법 및 관련법규를 준수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포토칼라 동호회 홈페이지(http://photocolor.kr)에 공개하여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한 일련의 조치들을 회원님께서 항상 용이 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포토칼라 동호회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법률의 제ㆍ개정, 정부의 정책 변경, 동호회의 내부 방침의 변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될 경우 변경내용을 지체 없이 고지하고 회원님께서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를 하겠습니다.
Copyright © http://photocolor.kr All rights reserved.